
전력망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그리드포밍(Grid-Forming)'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전력망은 동기발전기의 물리적 관성에 의존하여 주파수와 전압을 유지했지만, 재생에너지,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등 새로운 방식의 전력망 운영이 필요해졌습니다. 그리드포밍 기술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 정의그리드포밍(Grid-Forming)은 전력망의 주파수와 전압을 능동적으로 형성하고 유지하는 기술입니다. 태양광, 풍력 발전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DC전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 전력망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인버터를 통한 전력변환을 통해 AC전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기존의 인버터 기반 발전원은 전력망의 주파수와 전압을..

보호계전기는 전력계통에서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장애를 차단하거나 경고를 보냄으로써 전력 설비와 시스템을 보호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주요 보호계전기의 특징과 동작 원리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과전류 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계전기 번호 : 50(순시형), 51(반한시형)특징 :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시스템과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동작합니다. 전류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순시형 또는 반한시형 회로로 차단 신호를 보냅니다.동작 원리: CT를 통해 실시간 전류 감시 -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계전기가 작동, 차단기 트립2. 지락관전류 계전기(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계전기 번호 : 51G특징 : 접지 고장을 탐지하여 전력 ..

전기 시스템에서 차단기는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과전류나 단락이 발생할 때 전기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시스템과 장비, 나아가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단기의 종류, 전기적 차단 원리, 기계적 구동 방식, 그리고 인터록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차단기의 종류 차단기는 사용 목적과 성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대표적인 차단기는 VCB, ACB, MCCB, GCB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VCB(Vacuum Circuit Breaker) : 진공 상태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멸시키며 고압 차단기로 많이 사용됩니다.ACB(Air Circuit Breaker) : 공기를 매개로 아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저압 차단기로 사용되며 대전류를 차단하는 능력이 있습..

전 세계적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전력망의 효육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등장한 FDLR(Forecasted Dynamic Line Rating) 기술은 전력망의 운영 방식을 혁신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1. FDLR이란 무엇인가?FDLR은 송전선로의 송전 용량을 실시간 환경 데이터와 예측 모델에 기반해 동적으로 산정하는 기술입니다. 송전선로의 용량은 온도, 풍속, 습도 등 외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데, FDLR은 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적의 송전 용량을 산출합니다.이를 통해 전력망 운영자는 기존의 정적 용량 설정 방식(SLR, Static Line Rating)에 비해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송전 운영이 가능해집니다...